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삼성 싸피 지원
- 싸피 추천인
- 폰 도난
- 코딩테스트실력진단
- 폰 찾기
- 싸피 추천코드
- 그램 액정 교체비용
- 싸피 모집설명회 다시보기
- 폰 위치추적
- 코딩테스트
- 삼성 싸피
- 정처기 실기
- 싸피 혜택
- 코드트리
- #코드트리 #코딩테스트 #코딩테스트실력진단
- 정보처리기사 실기
- 인디노래 추천
- LG 서비스센터 영업시간
- 싸피 11기
- 학생메일
- 갤럭시 위치추적
- SSAFY
- 정처기 후기
- 싸피 지원자격
- 봄 노래
- 싸피 모집설명회
- gram 액정 교체
- 폰 잃어버렸을때
- 정보처리기사 준비물
- 정처기 인강 추천
- Today
- Total
포포's 코딩&일상 기록
7월 21일 금요일 공부 본문
오늘한거
정처기 카페 가입 (기출자료받으려고)
2023년 정보처리기사 1트 합격 공부법 : 네이버 카페 (naver.com)
안녕하세요
교재 -환상의콤비 2. 공부하고 있는 과목 정보처리기사 실기 3. 한 줄 소감 실기 한번에 합격하고싶네요 ㅜㅡㅜ 많은 이용 부탁드립니다! ?...
cafe.naver.com
다트 기초 1 : 0-30분
[코드팩토리] [입문] Dart 언어 4시간만에 완전정복 | 학습 페이지 (inflearn.com)
학습 페이지
www.inflearn.com
오늘 배운거
*다트기본
문장끝에 ; (세미콜론) 꼭 넣어야 문장이 끝남
메인함수
void main() {
}
안에 코드를 넣는다.
true / false 소문자로 시작
* final 과 const 의 공통점과 차이점
공통점
final 이랑 const 둘다 변수값 변경 불가능하고
*빌드타임(자연어로 코딩된걸 컴퓨터가 이해할수있는 이진수 값으로 변경하는 시간)
final 은 DayTime.now() 도 변수로 설정할 수 있음.
final은 빌드타임에변수값이 정해지지 않아도 사용가능,
const 는 DayTime.now()를 변수로 넣을수없음..
const 는 빌드타임때 변수값이 정해져있어야 사용할수있는거라...
DayTime 클래스 타입
날짜와 시간을 저장할수있는 클래스 , 데이터 타입
DayTime.now() 는 실행버튼을 누르고, 해당 줄의 코드가 실행될때의 시간을 측정하는 함수라
빌드타임에는 아무값이 설정되지 않음. ..
* 다트의 변수타입 선언
다트는.. 하나의 변수를 선언 할 때 앞에 변수타입을 함께 선언해줘야함
변수타입에 var 을쓸수있지만, 비추천함. 문장이 너무 복잡해질것같을때나 써야함..
이유는.. 앞에 변수타입을 적어놔야.. 다음번에 코드가 길어졌을 때 이변수가 뭐하는 변수인지 알기쉽기때문.
아래와 같이 너무복잡해질거같아서 어쩔수 없는 경우에만 var 쓰기
* 다트의 변수타입 확인방법
변수명.runtimeType 하면 .. 해당코드 실행시각에서 해당 변수의 타입을 알아와줌
* 다트의 변수값변경 과 변수 재선언
변수 선언 후 .. 변수값을 변경할 수는 있지만..
해당 이름의 변수를 또다시 선언할수없음.. .그럼오류뜸...
String / int / double / bool / var 등으로 해놓으면 해당변수명은 변수타입 변경도 불가능함
처음 선언한 타입 / 처음에 대입된 값의타입 으로 변수 타입이 fix 됨
* 다트에서 변수타입이 변경되는 변수
타입을 적는자리에 dynamic 을 적는다 (변수 type 을 dynamic 으로 설정한다)
* 다트의 변수값 출력 -> String 문장 안에서 변수명을 이용하여 변수값 출력
${} 사용해서 print()문 안에 변수값을 넣을수있음.. 이때 {}를 생략해도 되지만.. 해당변수에 메소드를 적용시키려면 ${} 풀로 적고 {}안에서 .메소드 적용
* 다트의 변수값 연산 방법 (Operator)

* 다트의 null 값 처리 -> 부족....
다트의 변수타입은 두개씩이라고 보면됨.
null 값이 들어갈수있는 타입과 null 값이 들어갈수없는타입.
null 값 들어갈수있는 타입은, 기존 타입바로뒤에 "?(물음표)"를 붙여서 선언한다.
변수타입 선언바로뒤에 ?(물음표) 넣으면 해당변수가 null 이 될수있다는 의미
null 값이 들어갈수있는 함수안에 .. 변수명!(느낌표) 적으면 .. 해당함수는 null 값이 절대 아니라는 의
기억 하기
const 와 final차이
부족한부분
null 값처리 이해부족.. 특히 ! 부분..
'코딩공부 > 다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7월 26일 수요일 공부 (0) | 2023.07.26 |
---|---|
7월 25일 화요일 공부 (0) | 2023.07.25 |
7월 24일 월요일 공부 (0) | 2023.07.24 |
7월 23일 일요일 공부 (0) | 2023.07.23 |
7월 22일 토요일 공부 (0) | 2023.07.22 |